무역에서 상업송장(Commercial Invoice)은 단순한 가격 송장이 아닙니다. 수출입 거래를 진행할 때 관세청, 세관, 은행, 운송사 모두가 확인하는 필수 문서로, 잘못 작성되면 통관 지연은 물론이고 대금 결제나 물품 인도에도 문제가 생길 수 있습니다.
오늘은 실무자가 꼭 알아야 할 상업송장의 정의부터 작성 항목, 작성 시 주의사항까지 상세하게 안내드리겠습니다.
1. 상업송장이란?
상업송장은 수출자가 수입자에게 발행하는 문서로, 물품의 품명, 수량, 단가, 총액, 선적 조건 등이 포함된 무역 거래의 거래 내역서입니다. 단순히 가격을 표시하는 문서가 아니라, 세관의 과세 기준, 운송 서류의 기준, 결제 및 회계의 기준으로 활용되기 때문에, 모든 항목을 정확하게 작성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2. 기본 구성 항목
상업송장에는 보통 다음과 같은 항목이 포함되어야 합니다:
- Exporter / Shipper (수출자 정보)
- Consignee (수입자 정보)
- Invoice Number & Date (송장 번호 및 발행일)
- Buyer (구매자): 수입자와 다른 경우
- Country of Origin (원산지)
- Country of Destination (도착국)
- Terms of Delivery (인코텀즈 조건)
- Terms of Payment (결제 조건)
- Description of Goods (상품명 및 설명)
- Quantity (수량)
- Unit Price / Total Price (단가 및 총액)
- Currency (통화 단위)
- Gross Weight / Net Weight (총중량 및 순중량)
- Port of Loading / Discharge (선적항/도착항)
- Signature (수출자 서명)
3. 실무 작성 팁
- 항목 누락 주의: 특히 ‘Invoice No.’, ‘Date’, ‘Payment Terms’는 빠지면 은행 서류심사에서 거절될 수 있습니다.
- 상품명은 명확하게: 단순히 모델명만 적기보다 상품의 성격이 드러나는 단어로 보완하는 것이 좋습니다.
- 단위/중량 일관성: 포장명세서(Packing List)와의 불일치를 방지하기 위해 단위, 중량 단위도 동일하게 작성해야 합니다.
- 인코텀즈 조건 명시: DAP, DDP 등 무역조건에 따라 가격 해석이 달라질 수 있으므로, 필수로 기입합니다.
- 영문 또는 양국 언어 병기: 통관 국가의 요구에 따라 한글+영문 혼용이 유리할 수 있습니다.
4. 자주 하는 실수
- ‘원산지’를 생산지와 착각해 잘못 기입
- Invoice에 총액만 적고 단가를 빠뜨림
- 수량 단위(PCS, SET 등)를 누락하거나 통일하지 않음
- 세관의 요구와 다른 인보이스 양식 사용
- 서명 또는 회사 직인이 누락되어 무효 처리됨
5. 체크리스트
✔️ 발행일과 송장 번호는 기재했는가?
✔️ 수출자·수입자 정보는 정확한 상호와 주소로 작성했는가?
✔️ 상품 설명, 수량, 단가, 총액이 누락 없이 일치하는가?
✔️ 인코텀즈 조건과 결제 방식은 명확히 적었는가?
✔️ 포장명세서 등 다른 문서와 정보가 일치하는가?
마무리 정리
오늘은 수출입 실무의 핵심 문서인 상업송장(Commercial Invoice)에 대해 알아보았습니다.
CI는 단순히 가격만 적는 서류가 아니라, 무역 절차 전반을 움직이는 기준이 되는 문서입니다.
한 번의 실수도 큰 문제로 이어질 수 있으므로, 꼼꼼하게 작성하고 체크리스트를 통해 반복 검토하는 습관이 중요합니다.
'국제무역 용어 사전 > 기타 무역 용어' 카테고리의 다른 글
Demurrage와 Detention 차이 쉽게 정리 (0) | 2025.08.20 |
---|---|
FCA, DDP, DAP 인코텀즈 조건 한눈에 이해하기 (0) | 2025.08.17 |
Commercial Invoice vs Proforma Invoice 차이점과 작성법 (0) | 2025.08.16 |
CIF, FOB, EXW 조건 차이점과 실무 적용법 (0) | 2025.08.16 |